기본 개념 익히기를 통해 알게 된 것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해봅시다.
먼저 여름과 겨울 사이의 부피 차이를 계산해 봅시다. 겨울 평균 온도 -5oC는 절대온도로 268K입니다. 그리고 여름 평균 온도 30oC는 절대온도로 303K입니다. 띠리서 겨울에 5L인 기체는 여름에는 부피가 (5.0L) x (303/268) = 5.7L 입니다. 즉, 여름에는 겨울에 비해 1.1배 정도 부피가 카집니다. 따라서 사용한 가스의 부피에 따라 가스비를 정한다면 여름에는 겨울에 비해 1.1배 더 많은 요금을 냅니다.
계절에 따른 기체 부피의 변화를 고려하여 가스비를 정하는 한 가지 방법은 중간 정도의 부피를 갖는 봄 또는 가을을 기준으로 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5oC와 30oC의 중간인 13oC(절대온도 286K)를 기준으로 하는 것입니다. 이 경우 봄 또는 가을에 비해, 여름에는 그 부피가 303/286 = 1.06 배 커집니다. 이때에는 측정된 가스 부피를 1.06으로 나눈 부피를 사용하여 요금을 매깁니다. 반대로, 겨울에는 봄 또는 가을에 비해 부피가 268/286 = 0.94 배 작아집니다. 이때에는 측정된 가스 부피를 0.94로 나눈(또는 1.06으로 곱한) 부피를 사용하여 요금을 매깁니다. 이렇게 하면 계절에 따른 가스 부피의 변화를 고려하여 가스비를 매길 수 있습니다.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