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삼투압 정수기

 
 
 

수돗물에는 물 이외에도 많은 물질들이 녹아 있습니다. 우리 몸에 이로운 물질도 있지만 해로운 물질도 많지요. 그래서 물 이외의 다른 물질들을 없애야 우리가 안심하고 먹을 수 있겠지요. 정수기가 하는 일이 바로 수돗물 속에 있는 물 이외의 물질들을 없애고 순수한 물을 만드는 것입니다.

 

여러분들 가정에 혹시 정수기가 있다면 한번 살펴보세요. 아마 역삼투압 정수방식이라고 쓰여진 정수기가 많을 거예요. 삼투압까진 알겠는데 역삼투압이 또 뭐냐고요? 소금물과 물 사이에 반투막을 두면 물이 물 쪽에서 소금물 쪽으로 이동하였지요. 삼투압 때문에.

 

 

그런데 정수기는 여러 가지 물질이 녹아있는 물로부터 물만 빼어내지요. 가만히 놓아두면 물이 물 쪽에서 소금물 쪽으로 이동하는데 정수기는 오히려 소금물로부터 물을 빼어내려는 거지요.

 
 

어떻게? 어떻게?

 

 

 

만약 내가 물체를 오른쪽으로 밀고 싶은데 왼쪽으로 10의 크기로 미는 힘이 있다고 해봐. 내가 어떻게 해야 물체를 오른쪽으로 보낼 수 있을까?

 

저요. 저요. 10보다 더 큰 힘으로 오른쪽으로 밀면 돼요.

[참조: 학습 자료실 / 물리 / 힘과 운동 / 힘의 평형]

에서 읽었어요.

 

예를 들어 내가 12의 크기로 오른쪽으로 밀면, 겉으로 보기엔 나 혼자 2의 크기로 오른쪽으로 미는 것과 같아 물체가 오른쪽으로 움직이지.

 

 

그러니까 삼투압보다 더 큰 힘으로 소금물 쪽에서 물 쪽으로 밀면 물이 반투막을 통해 오른쪽으로 밀려간다~ 그 말.

 
 

 이게 바로 역삼투압 정수기의 원리인데, 삼투압의 반대(역) 방향으로 삼투압보다 더 큰 힘을 주어 물만 빼낸다는 뜻이지.

 
근데 삼투압보다 큰 힘이 어디에서 나오는 거지?
 

 

강수량이 적은 우리나라에선 많은 물을 구할 수 있는 곳이 바로 바다지요. 소금 등등의 많은 물질이 녹아있는 바닷물로부터 물을 빼내어 쓰기 위해 역삼투압 원리를 사용하지요.

 

 

 

 

    열린 과학 자료실 홈     생활 속의 과학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