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기 안에는 눈에 보이진 않지만 기체 상태의 물인 수증기가 항상 있지요. |
||
|
||
그리고 온도가 높을수록 많은 양의 수증기가 공기 안에 있을 수 있고, 온도가 낮으면 적은 양의 수증기밖에는 공기 안에 있을 수 없어요. |
||
|
||
우리가 내어 쉬는 숨은 들이마신 공기 중의 산소 일부가 이산화탄소로 바뀐 것입니다. 그러니까 공기에서 산소를 조금 빼고 이산화탄소로 채운 거라고 할 수 있지요. 그런데 날숨의 공기 온도는 우리 체온과 비슷한 35∼40 ° 정도입니다. 겨울의 실외 바깥 온도는? 0 ° 정도 되지요. |
||
![]() | ||
이렇게 더운 날숨과 찬 공기가 만나면, 더운 날숨의 온도가 갑자기 내려가게 되고 기체 상태의 물분자 중 몇몇은 뭉쳐서 액체 상태의 작은 물방울이 되지요. |
||
|
||
이런 작은 물방울들이
많이 모인 것이 입김이에요. 이 물방울들은 빛을 반사하기 때문에
하얀 연기처럼 보이지만, 엄밀하게 말하면 연기는 아니지요.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