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화할 때 빼앗기는 열

 
 

준비물

  • 온도계
  • 선풍기
 

실험과 관찰

1. 온도계 두개를 준비한 다음 한쪽 온도계는 솜으로 감싼다.

2. 솜에 물을 적신 후 선풍기 바람을 불어준다.

3. 온도 변화를 관찰한다.

 
 

 
 

왜 그럴까요?

 

    물을 열린 그릇에 담아 공기 중에 놓아두면 물이 조금씩 줄어들지요. 그것은 표면의 물 분자들이 주위로부터 열을 얻어, 다른 분자들이 끌어 당기는 힘을 이기고 뿔뿔이 흩어져 기체 상태로 되어 날아가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왜 표면에서냐 구요? 그것은 표면에 있는 분자들은 그 위에 잡고있는 다른 분자들이 없이 안쪽의 분자들에 비해 느슨하게 잡혀있습니다 그래서 비교적 적은 열로도 기체 상태로 될 수 있기 땨문입니다.

     

     

    이렇게 표면에서 천천히 기화하는 현상을 증발이라고 하지요. 그리고 증발이 일어날 때 주위는 열을 빼앗기게 되지요.

    그런데 바람이 없는 상태에서는 증발이 아주 천천히 일어나 주위가 열을 빼앗기는 것을 관찰하기 힘듭니다. 바람이 있으면 증발이 빨리 일어나고, 주위가 열을 빼앗기는 것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어떻게요?

 

    주위가 열을 빼앗기면 주위의 온도는 어떻게 될까요?

    온도가 내려간다.
    물질의 상태가 변하지 않으면서 열을 빼앗기면, 온도가 내려갑니다.

 

    따라서 온도계 아랫부분을 물로 적신 솜으로 감싸고 솜에 바람을 쐬어주면 물이 빠르게 기화하면서 온도계로부터 많은 열을 빼앗아 갑니다. 따라서 온도계의 온도는 낮아지지요.

     

     

 

 

 

 

    열린 과학 자료실 홈     생생 실험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