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액체에서 기체로, 기체에서 액체로 변할 때의 부피변화
|
액체상태에서는 분자들끼리 서로 잡아당기며 서로로부터 가까이
배열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기체에서는 분자들의
운동이 활발해져 분자들끼리 잡아당기지 않고 서로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습니다. 그러니까 액체에서 기체로
변하면서 분자들 사이의 빈 공간이 많이 생기고 따라서
부피가 많이 커지지요.
|

액체
기체
기체는
용기 안에 가둬 두지 않으면 다 도망가 버리지요. 따라서
기체는 닫힌 용기에 담아 두어야 하는데 속 공간이 커졌다
작아졌다 할 수 있는 용기에 기체를 담으면 용기 안의 압력이
용기 밖의 압력 - 대기압, 보통 1기압 - 과 같아지도록
용기 속의 부피가 조절됩니다. 그러한 용기의 대표적인
예가 풍선입니다.
|
1기압
하에서 물을 가열하여 수증기로 만들면 부피가 2000배 정도 증가합니다.
엄청나지요?
어머니들께서 다리미질
하실 때 물을 뿌리시지요. 그 이유를 아래에서 알아보세요.
|
물을
뿌린 후 다림질을 하면 왜 더 잘되는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