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선생님, 제 몸무게는 영원히 알 수 없는 미스테리일까요? |

|
글쎄 정확한 몸무게는 아니어도 대충은 알 수 있지. 최소한 코실이보다 얼마나 더 무거운지. |

|
선생님 어떤 방법인지 빨리 알려주세요. |

|
바로 기준 물체를 사용하는 방법이지. |

|
기준 물체라구요? |

|
예를 들어, 벽돌을 기준 물체로 사용하여 코달이 몸무게는 벽돌 몇 개와 같은지 알아내는 거지.
만약 코달이와 벽돌 50개가 받침점으로부터 같은 거리에 있을 때 수평을 이룬다면, 코달이의 무게는 벽돌 50개의 무게와 같다 라고 표현하는 거지.
|
|

|
|
|
같은 방식으로 하면
와 같이 나타넬 수 있지. 무게가 무거운 순서로 적어보면
이지.
|
|

|
|
|
단순히 어느 것이 더 무거운가 뿐 아니라, 몇 배나 더 무거운지도 알 수 있어.
|

|
아하! 기준 물체를 사용하면, 수평을 이루는 기준 물체의 수의 비가 무게의 비가 되는 군요. |

|
그렇지. 두 물체씩 올려놓고 어느 쪽이 기우는지 보고 무게를 비교한다면 여러 번 재어야 하지. 하지만 기준 물체를
사용하면 한 물체 당 한번 씩만 하면 된단다. 그리고 무게 비로 알 수 있고.
위의 그림에서 벽돌이 너무 무거워 개상이와 수평을 맞출 방법이 없쟎아. 그래서 개상이와의 무게 지를 알 수 없지. 그러니까 무게를 비교하려고 하는 물체의 무게보다 기준 물체의 무게는 작아야 해.
|
|
얘들아 필통 속에 있는 연필 다 가져와봐. 개상이 무게도 비교해 보자. |

|
여러 학생의 연필은 기준 물체가 될 수 없어. 기준물체는 무게가 같은 것만 사용해야 하거든.
|
|
 
|
|
|
그런데 저의 무게를 재기 위해 벽돌 50개를 올려놓으려면 무게 재기 전에 뻗지 않을까요? |
 |
그럴 때는 기준 물체를 여러 개 묶어서 기준 물체로 사용하면 좀 더 빠르고 쉽게 할 수 있지.
예를 들어 벽돌 10개씩 묶어서 기준 물체를 만들면 코달이 무게는 묶음 기준 물체 5개만 올려주면 되니까 더 빠르게 무게를 비교 할 수 있지. |
|

|
|
|
그러면 되겠어요. |

|
같은 원리를 사용하는 양팔저울에 대해서는 다음 공부방에서 알아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