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넌 수영도 못하면서 물에는 왜 들어간 거야? |

|
튜브를 끼었으니까 물에 뜰 줄 알았지. 근데 왜 안 뜨는 거야? |

|
위 그림의 튜브가 널 뜨게 해줄거라고 생각했다구? 그건 널 무시한 거야. |

|
무슨 말이야? 잘 설명해봐. |

|
먼저 뜨고 가라앉는 것에 어떤 것이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힌트를 줄 동영상을 관찰해봐. |
|
|
|

|
같은 질량의 찰흙인데 모양에 따라 물에서 뜨기도 하고, 가라앉기도 하네. 속이 꽉찬 공모양의 찰흙은 가라앉고, 오목하게 배모양으로 만든 찰흙은 뜨고. |
|

|
|

|
어떤 물체를 아래로 가라앉 하는 힘은 지구중력이지. 어떤 물체에 작용하는 지구중력의 크기를 물체의 무게라고 하고. 그런데 무게는 질량에 비례해. 즉, 질량이 커지면 그 물체에 작용하는 지구중력이 커져.
그리고 물체를 위로 뜨게 하는 힘인 부력은 물체의 부피와 관계있어. 물체의 잠긴 부피와 같은 부피의 물의 무게가 부력의 크기지.
|

|
그러니까 아래로 작용하는 지구중력은 물체의 질량에 비례하고, 위로 작용하는 부력은 물체의 잠긴 부피에 비례하는 거네. 물체가 어떤 위치에 떠있다면, 그 위치에서 지구중력과 부력이 같다는 거니까, 아래 그림처럼 정리할 수 있겠어.
|
|

|
|

|
그렇지. 같은 양의 찰흙으로 만든 두 가지 모양 찰흙의 같은 점과 다른 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아.
|
|

|
|
|
같은 부피를 비교하였을 때 공기의 질량은 물의 1/1,300 정도밖에는 안 돼. 따라서 공기는 질량은 거의없이, 부피를 키워준다고 볼 수 있지.
|

|
아하~
그래서 공 모양의 찰흙은 전체 부피가 다 잠겨도 중력을 이길 만한 부력이 생기지 않고, 배 모양은 다 잠기지 않고도 중력을 이길 만한 부력이 생기는 구나.
|

|
물체의 한 가지 성질로 그 물체가 물에 뜰지 그렇지 않을지 알 수 있어.
어떤 물체가 수면 바로 아래에 떠있다고 생각해봐.

물체의 부피와 같은 부피의 물의 무게 = 물체의 무게
물체의 부피와 같은 부피의 물의 질량 = 물체의 질량
의 관계가 있는 거야.
|

|
같은 부피의 물과 물체의 질량이 같다고? 물체의 질량을 부피로 나눈 것을 밀도라고 하니까. 같은 부피를 비교하였을 때 질량이 같다는 것은 밀도가 같다는 뜻인데.
|

|
맞아. 물체의 밀도가 물의 밀도와 똑같다면 수면 바로 아래에서 떠있는 거야. 만약 물체의 밀도가 물보다 크다면 다 잠겼을 때 부력이 지구중력보다 작다는 뜻이니까, 가라앉지. 반대로 물체의 밀도가 물보다 작다면 물체의 일부가 수면 위에 있도록 떠있게 돼.
|

|
아하! 물체의 물도가 물보다 크면 물에서 가라앉고, 물과 같거나 작으면 물에서 뜨는 구나~
|
|

|
|

|
이제 네까 어떤 튜브를 사용해야 물에 뜰지 알겠지?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