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다음과 같이 우리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식물들을 분류하려고 합니다. 분류기준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어느 것인가요? |
강아지풀,
벼, 옥수수, 보리와 명아주, 호박
|
① 잎의 크기
② 잎의 모양
③ 잎의 두께
④ 잎맥의 모양
⑤ 잎의 수
|
|
2.
뿌리의 모양이 같은 것끼리 짝지어진 것은 어느 것인가요? |
① 명아주, 잔디
② 강아지풀, 단풍나무
③ 보리, 토끼풀
④ 호박, 옥수수
⑤ 강낭콩, 봉숭아
|
|
3.
다음 그림의 뿌리는 어느 식물의 뿌리인지 알맞게 짝지워진 것은 어느것인가요? |
|
(ㄱ) (ㄴ)
① 명아주 호박
② 민들레 단풍나무
③ 강아지풀 보리
④ 명아주 강아지풀
⑤ 강아지풀 잔디
|
|
4.
쌍떡잎식물과 외떡잎식물을 분류하는 기준이 될 수 없는 것은 무엇인가요? |
① 뿌리의 모양
② 잎의 모양
③ 잎맥의 모양
④ 열매의 모양
|
|
5.
수염뿌리를 가진 식물의 잎 모양이 갖는 특징을 가장 잘 나타낸 것은 어느 것인가요? |
① 잎이 길고 좁으며 잎맥은 나란히맥이다.
② 잎이 작고 넓으며 잎맥은 나란히맥이다.
③ 잎이 크고 그물맥을 가지고 있다.
④ 잎이 길고 넓으며 그물맥을 가지고 있다.
|
|
6.
다음은 뿌리에서 흡수된 물이 이동되는 과정을 그림으로 나타낸 것입니다. 가장 바르게 나타낸 것은 어느 것인가요? |

|
①㉠ ②㉡
③㉢ ④㉣
⑤㉤
|
|
7.
식물에서 물과 양분이 이동할 수 있는 통로가 되는 부분과 물을 흡수하고 양분을 저장하기도 하는 부분이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어느 것인가요? |
① 뿌리와 꽃
② 열매와 뿌리
③ 줄기와 뿌리
④ 잎과 꽃
⑤ 줄기와 꽃
|
|
|
8.
다음 중 뿌리에 양분을 저장하는 식물이 아닌 것은 어느 것인가요? |
① 인삼 ② 벼 ③
무 ④ 더덕
⑤ 도라지
|
|
9.
식물에 오랫동안 물을 주지 않았을 때 식물이 시드는 것과 가장 관계 깊은 뿌리의 작용은 무엇인 가요? |
① 호흡 작용
② 증산 작용
③ 지지 작용
④ 흡수 작용
⑤ 저장 작용
|
|
10.
식물에게 물이 필요한 이유로 옳지 않은 것은 어느 것인가요? |
① 물은 식물의 광합성 작용에 사용된다.
② 물은 양분을 운반해 준다.
③ 물이 없으면 식물은 말라죽게 된다.
④ 증산작용을 하는데 사용된다.
|
|
11.
흡수된 물이 이동하는 과정으로 맞는 것은 어느 것인가요? |
① 뿌리 -> 뿌리털 -> 줄기 -> 잎자루 -> 잎
② 뿌리털 -> 뿌리 -> 줄기 -> 잎자루 -> 꽃
③ 뿌리 -> 뿌리털 -> 줄기 -> 꽃가루 -> 꽃
④ 줄기 -> 뿌리 -> 잎자루 -> 잎맥
⑤ 잎맥 -> 잎자루 -> 줄기 -> 뿌리
|
|
12.
식물의 각 부분에서 하는 일이 바르게 연결되지 않은 것은 어느 것인가요? |
① 뿌리---물과 양분을 흡수
② 잎----녹말 생산
③ 꽃----생식 기능
④ 열매---번식
⑤ 줄기---광합성 작용
|
|
13.
다음 중 식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어느 것인가요? |
① 식물의 꽃을 모두 따면 열매를 맺을 수 없다.
② 식물의 뿌리를 자르면 줄기나 잎이 물을 흡수한다.
③ 식물의 잎을 모두 따면 씨앗을 퍼뜨리지 못해 번식하지 못한다.
④ 식물의 꽃을 모두 따면 녹말을 만들지 못해 식물이 살 수 없다.
⑤ 식물은 숨을 쉬지 않으므로 독가스가 있는 곳에서도 잘 살 수 있다.
|
|
14.
흙 속에 있는 물이 뿌리로 흡수되는 과정과 관계 있는 것은 어느 것인가요? |
① 증산 작용
② 삼투압 작용
③ 저장 작용
④ 물의 응집력
⑤ 호흡 작용
|
|
15.
다음 중 식물이 우리 생활에 주는 이로움이 아닌 것은 어느 것인가요? |
① 신선한 공기를 제공한다.
② 공기의 오염 물질을 흡수한다.
③ 미생물을 번식시킨다.
④ 약용으로 쓰이기도 한다.
⑤ 옷감의 원료로도 쓰인다.
|
|
16.식물의
역할 놀이를 할 때 식물체의 각 부분을 나타내는 데 가장 적당한 방법은 어느 것인가요? |
① 목소리로 나타낸다.
② 옷 모양으로 나타낸다.
③ 명칭을 가슴에 붙이고 한다.
④ 그림을 그려 머리에 모자를 만들어 쓴다.
⑤ 색깔로 나타낸다.
|
|
17.
다음 중 식물에 대해 잘못 말한 것은 어느 것인가? |
① 모든 식물은 꽃이 핀다.
② 식물은 대부분 잎, 줄기, 뿌리의 구조로 되어 있다.
③ 식물은 종류에 따라 잎과 뿌리의 모양이 다르다.
④ 밀, 보리의 잎맥은 나란히맥이다.
⑤ 꽃이 진 후 생긴 씨앗은 식물의 대를 잇게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