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 자 운 동

 

  1.  겨울에 강 위에 얼은 얼음 위를 건널 때 기어가면 안전한 이유는?


    ① 기어가면 덜 미끄러우므로
    ② 우리 몸의 무게가 넓은 면적에 분산되어 얼음에 적은 압력을 작용하므로
    ③ 기어가면 우리 몸이 얼음 전체에 가하는 힘이 작아지므로
    ④ 기어가면 얼음에 열이 덜 전달되므로

 

 2.  물 깊은 곳에서 위로 올라올수록 기체의 용해도가 작아져 우리 혈액 안에서 기포가 생깁니다. 스킨스쿠버 다이빙을 할 때 깊은 바다에 들어갔다 물위로 나올 때는 아주 천천히 나와야 하는 이유는?


    ① 물위로 올라올수록 기포가 작아지므로
    ② 물위로 올라올수록 기포가 심하게 움직이므로
    ③ 물위로 올라올수록 기포가 커지므로
    ④ 물위로 올라올수록 기포가 차가워지므로

 

 3.  빨대로 음료수를 마실 수 있는 이유는?


① 물은 빨대를 따라 올라오는 성질이 있으므로
② 빨대를 빨면 빨대 안의 압력이 높아지므로
③ 빨대를 빨면 대기압이 커지므로
④ 빨대를 빨면 빨대 안의 압력이 낮아지므로

 

 

 4.  다음과 같이 둥근 플라스크의 입구를 막고 조그만 구멍을 뚫은 후 중간에 물로 막힌 관을 끼웁니다. 그리고 손으로 감싸면 물이 어떻게 움직일까요?


① 물이 왼쪽으로 움직인다.
② 물이 움직이지 않는다.
③ 물이 오른쪽으로 움직인다.
④ 물이 오른쪽, 왼쪽으로 왔다갔다 한다.

 

  5. 달걀보다 약간 큰 입구를 가진 그릇을 가열한 후 껍질을 깐 달걀을 입구에 올려놓고 그릇을 식히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요?


① 달걀이 아래로 떨어진다.
② 달걀이 위로 튕겨나간다.
③ 달걀이 전혀 움직이지 않는다.
④ 달걀이 부풀어오른다.

 

 

  6. 만약 부피가 변할 수 없는, 공기로 채워진 용기를 가열하면 어떤 일이 생길까요?


① 압력이 작아진다.
② 압력이 커진다.
③ 압력이 변하지 않는다.
④ 온도가 내려간다.

  7.부피와 온도를 변하지 않게 하고 기체의 양을 2배로 늘리면 압력이 2배가 됩니다. 그 이유는?


① 기체 분자들이 용기 벽에 충돌하는 빈도가 2배로 증가하므로
② 기체 분자가 용기 벽에 한번 충돌할 때 2배로 큰 힘을 전달하므로
③ 기체 분자 하나가 가지는 에너지가 2배가 되므로
④ 기체 분자가 두 개씩 묶여 다니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