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층의 휘어짐

 
 
 
 
 

아니에요. 조개는 물을 떠나 살 수 없지요.

따라서 조개가 산에서 살았던게 아니라 조개가 살던 강 또는 바다 아래의 땅이 솟아 지금은 산이 된거지요. 그러니까 지각은 원래 모습 그대로 있는 게 아니고 항상 변하고 있다는 거지요. 예를 들어, 지층에 다음과 같이 힘이 양쪽에서 작용하면 지층이 휘게 됩니다.

 

 

이것은 종이로 층을 만든 후 양쪽에서 힘을 가해 보면서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를 관찰해 보면 쉽게 이해가 되지요.

 

    scienceorc.net

 

여러 층으로 쌓은 종이의 양쪽에 힘을 가하면 가운데가 볼록하게 올라가고, 양쪽은 오목한 모양으로 휘어집니다.

 

 

마찬가지로 지층에 양쪽에서 힘을 가하면 가운데가 볼록하게 올라가고, 양쪽은 오목한 모양으로 휘어집니다. 이렇게 휘어진 것을 습곡이라고 합니다.

 

 

지층이 휘어진 후에도 계속 힘이 가해지면, 더 복잡한 모양의 습곡이 만들어집니다. 만약 양족에서 미는 힘이 빠르게 작용하는 경우 지층이 깨어지기도 합니다.

 

 

지층을 미는 힘은 어떻게 생기냐구요? 지각은 여러 개의 판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지각을 이루는 판들이 이동하다가 서로 부딪히거나 하면 두 판의 경계 주변의 지각에 엄청나게 큰 힘을 가하게 됩니다.그 결과 두 판의 경계면 부근에 산맥이 생기게 됩니다. 이러한 산맥의 예로는 히말라야 산맥, 아팔라치안 산맥, 알프스 산맥 등이 있지요.

 

    아하상식

인디안 대륙은 아주 빠르게 움직이는 판 위에 있다고 합니다. (1년에 1~4인치) 2천4백 만년 전에 이 판과 유라시아 판이 부닥치면서 생긴 것이 현재 세계에서 가장 높은 산맥인 히말라야 산맥이라고 해요. 히말라야 산맥은 아직도 조금씩 높아지고 있다네요.

 

 

 

 

 

  학습 자료실       이전 공부방     다음 공부방